- 화재시 대피요령
-
- 화재 발생시 바로 대피 할 것
- 화재시 가장 위험한 것은 유독한 연기 이므로 가능한 낮은 자세로 손수건 등을 사용하여 입과 코를 막고 불길의 반대편으로 이동
- 대피 시 비상계단을 사용하여 대피하며, 절대로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면 안됨
- 대피 전 소화할 수 있는 경우
- 소화에 실패하더라도 충분히 대피할 수 있다고 판단 될 경우
- 불이 작아 위험이 덜할 때
- 소화할 자신이 없을 때에는 소화를 시도하지 말고 우선 신고하고 대피
- 화재시 방안에 고립되었을 경우
- 소리를 치거나 물건을 창밖으로 던져 갇혀 있음을 알림
- 문을 닫고 문틈으로 연기가 새어 들어오는 곳을 담요나 시트, 양말 등으로 막음
- 손수건 등에 물을 축여 마스크로 하고 가능한 자세를 낮춤
- 대피 요령
- 실험실내 다른 사람에게도 큰 소리로 전파한다
- 자기가 위치한 자리에서 가장 가까운 비상출구로 신속히 대피한다
- 개구부를 통하여 대피할 때에는 반드시 물을 닫고 대피하여 화재와 연기의 확산을 지연시킴
-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할 경우 옥상으로 대피하여 구조를 요청한다
- 불길이나 연기가 주위까지 접근하여 대피가 어려울 경우 무리하게 통로나 계단을 대피하기 보다는 건물내에서 안전조치를 취한 후 외부로 알리고 구조를 기다린다.
- 화재 발생시 바로 대피 할 것
- 화재예방 수칙
-
- 화재 발생시 바로 대피 할 것
- 화재시 가장 위험한 것은 유독한 연기 이므로 가능한 낮은 자세로 손수건 등을 사용하여 입과 코를 막고 불길의 반대편으로 이동
- 대피 시 비상계단을 사용하여 대피하며, 절대로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면 안됨
- 대피 전 소화할 수 있는 경우
- 소화에 실패하더라도 충분히 대피할 수 있다고 판단 될 경우
- 불이 작아 위험이 덜할 때
- 소화할 자신이 없을 때에는 소화를 시도하지 말고 우선 신고하고 대피
- 화재시 방안에 고립되었을 경우
- 소리를 치거나 물건을 창밖으로 던져 갇혀 있음을 알림
- 문을 닫고 문틈으로 연기가 새어 들어오는 곳을 담요나 시트, 양말 등으로 막음
- 손수건 등에 물을 축여 마스크로 하고 가능한 자세를 낮춤
- 대피 요령
- 실험실내 다른 사람에게도 큰 소리로 전파한다.
- 자기가 위치한 자리에서 가장 가까운 비상출구로 신속히 대피한다.
- 개구부를 통하여 대피할 때에는 반드시 물을 닫고 대피하여 화재와 연기의 확산을 지연시킴
- 아래층으로 대피가 불가능할 경우 옥상으로 대피하여 구조를 요청한다.
- 불길이나 연기가 주위까지 접근하여 대피가 어려울 경우 무리하게 통로나 계단을 대피하기 보다는 건물내에서 안전조치를 취한 후 외부로 알리고 구조를 기다린다.
- 화재 발생시 바로 대피 할 것
- 발생 화재별 소화방법
-
- 일반화재 소화 방법
- 가장 대표적인 화재의 상황으로 목재, 종이, 섬유 등 일상 생활 어디에서나 발생 할 우려가 가장 높은 화재이다. 따라서 가연물의 보관을 적게 하고, 화재가 발생한 경우 분말 소화기, 옥내소화전 등을 활용하여 화재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.
- 유류, 가스 화재 소화 방법
- 등유, 경유, 휘발유, LPG, LNG, 부탄가스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인화성 액체 가연성 가스류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연소 확대 및 폭발의 우려가 매우 높은 물품이다. 화재 발생시 분말소화기, 할로겐화합물소화기 및 불활성기체 소화기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소화하도록 한다.
- 전기 화재 소화 방법
- 전기 제품의 사용에 있어서 접촉 불량,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, 충전부 먼지 등으로 발생하는 화재로 분말소화기, 할로겐화합물소화기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소화하도록 한다.
- 금속 화재 소화 방법
- 실험 및 연구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칼륨, 나트륨, 알칼리 금속류에서 주로 발생하는 화재로 주로 물과 급속도로 반응하여 폭방을 일으킬 수 있는 대표적인 금수성 물질이다. 적응성이 있는 소화약제로는 팽창질석, 건조사 등을 이용하여 소화할 수 있다.
- 동·식물유 화재
- 가정에서 사용하는 식용류 등이 대표적인 화재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소화가 되지 않고 넘쳐 흘러 화재가 연소 확대 될 수 있기에 주의를 요한다. 소화방법은 주방용 소화기(K급)를 사용해야 하며, 유류, 가스화재 소화방법과 유사하다.
- 일반화재 소화 방법
- 담당부서
- 시설관리팀
- 연락처
- 02-2610-516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