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실험 전
-
- 유해 화학물질에 대해 MSDS(물질안전보건자료) 작성, 비치 및 주요 안전사항에 대해 숙지 후 실험 실시
- 단락물리화학적 성절과 위험성(부식, 인화, 독성 등) 인식
- 처음 다루거나 익숙하지 않은 화학물질 취급시 공급자 및 전문가 확인 필요
- 폐기 및 응급처치 방법 숙지
- 흄후드, 국소배기장치 등 화학물질 실험안전장치의 정상작동 여부 확인
- 화학물질 노출에 대비한 적절한 안전설비 작동여부 점검
- 비상샤워기, 안구제정기 등
- 화학물질별 적절한 개인보호구 착용(실험복, 보안경 등)
- 유해 화학물질에 대해 MSDS(물질안전보건자료) 작성, 비치 및 주요 안전사항에 대해 숙지 후 실험 실시
- 실험 후
-
- 실험 후 얼굴과 손, 팔 등 비누로 세척
- 유해 화학물질 분리 보관
- 상성이 다른 화학물질 따로 보관
- 모든 화학물질의 뚜껑은 확실히 밀봉해 누출 방지
- 유해화학물질의 사용량을 파악 후 재고량과 대장에 기록된 잔여량이 일치하도록 관리
- 각 화학물질 성상에 따라 구분하여 폐액 및 폐수 처리
- 개인 보호구
-
전기안전 개인 보호구 - 취급작업, 개인보호고 정보를 제공 취급작업 개인 보호구 인화성 액체 - 보안경 혹은 보안면
- 실험복 혹은 방염성 실험복
- 내열성 혹은 내화학성 장갑
부식성 액체 - 보안경 혹은 보안면
- 실험복 혹은 방염 실험복
- 내화학성 장갑
극저온 액체
혹은
드라이아이스- 보안경 혹은 보안면
- 실험복 혹은 앞치마
- 방한 장갑
금수성 물질 - 보안경 혹은 보안면
- 내화학성 혹은 방염성 실험복
- 내화학성 장갑
폭발성 물질 - 보안경 혹은 보안면
- 방염성 실험복
- 정전기 방지용 장갑
- 담당부서
- 시설관리팀
- 연락처
- 02-2610-516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