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-
가스누출사고
-
- 사고개요
- 일시 : 2018. 7. 21
- 장소 : 고압가스용기 옥외저장소
- 사고내용 : 충전기한 초과된 메탄가스용기의 안전밸브(파열판식)이 파손되면서 일시에 다량의 가스가 누출됨
- 사고원인 및 피해내역
- 사고원인 : 용기온도 상승 및 충전기한 초과
- 피해내역 : 가연성가스(메탄) 누출
- 사고개요
-
-
-
전기화재 - 멀티콘센트 과열에 의한 연구실 화재사고
-
- 사고개요
- 사고 유형 : 전기/과열 화재사고
- 사고 장소 : 대전 ○○기관
- 피해 현황 : TV모니터, VTR 및 연구실내 집기류 일부 소실
- 사고경위
- 대전에 위치한 ○○기관 연구실에서 한 개의 멀티콘센트(220V, 6구)에 다양한 전기제품(TV 1대, VTR 2대, 모뎀 3대)을 연결하여 장기간 사용하던 중 멀티콘센트 과열로 화재가 발생하여 TV모니터 및 연구실내 집기류 일부가 소실된 사고가 발생하였다.
- 사고원인
- 연구실 정리정돈과 청소 부족에 따른 먼지 등 가연성 물질이 멀티콘센트 주변에 축적되어 열 발산을 방해하고, 열을 흡수함으로써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서 멀티콘센트에 여러 개의 전기제품을 장기간 연결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플러그 부분의 헐거움 및 과부하 등의 이유로 주변 가연물에 인화되어 화재가 발생하였다.
- 재발방지대책
- 자칫 소홀히 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 점검을 철저히 하고 문어발식 배선을 금지한다.
- (멀티)콘센트 주변을 항상 정리하여 플러그 부분에 먼지 등으로 열이 축적되지 않도록 한다.
- 사고개요
-
-
-
화학물질 화재 - 칼륨에 의한 연구실 화재사고
-
- 사고개요
- 가. 사고 유형 : 화학약품 화재사고
- 나. 사고 장소 : 서울 ○○대학교 과학관 연구실
- 다. 피해 현황 : 화상(2도) 1명
- 사고경위
- 서울에 위치한 ○○대학교 과학관 연구실에서 유기용매(에탄올과 칼륨의 혼합물)를 제조하기 위해 연구활동종사자가 흄후드 내에서 작업하던 중 화재가 발생하였다. 이 사고로 연구활동종사자는 2도 화상을 입었지만 소화기(CO₂)를 이용한 초기 진화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였다.
- 사고원인
- 가. 흄후드 내부에서 에탄올과 칼륨을 혼합하던 중 금수성의 칼륨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였다.
- 나. 연구활동종사자는 반복되는 연구활동에 따라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고, 해당 연구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진 연구실책임자가 없는 상태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.
- 재발방지대책
- 가. 연구실 안전관리 시스템 보완
-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연구활동은 안전측면이 고려된 표준 수행절차를 해당 연구실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이행한다.
- 연구 수행 전 연구실책임자의 철저한 안전 교육 및 주요 위험 요소를 내포한 연구단계에는 지도교수 등 연구수행에 해박한 지식을 가진 연구원 입회 하에 수행한다.
- 소화기의 적절한 사용법 등 자주 발생하는 경미한 사고들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법을 평소 반복적으로 교육 및 실습을 실시한다.
- 나. 연구실 환경 개선
- 연구를 위한 흄 후드의 정기점검은 이루어지고 있으나, 환기 성능검사 등 장비를 이용한 보다 정확한 검사가 필요하다.
- 연구실에서 수행되는 연구의 잠재 위험 분석을 과학적인 접근방법을 활용해 확인하고, 확인된 잠재위험의 제거 또는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적절한 개인보호구 확보 및 착용이 필요하다.
- 가. 연구실 안전관리 시스템 보완
- 사고개요
-
-
-
부주의에 의한 화재 - 가스 누출에 의한 폭발사고
-
- 사고개요
- 가. 사고 유형 : 가스 폭발사고
- 나. 사고 장소 : 대전 ○○기관 연소공학실험실
- 다. 피해 현황 : 사망 1명, 중상 1명
- 사고경위
- 대전에 위치한 ○○기관 연소공학실험실에서 연구활동종사자가 과산화수소 분해 연구개발활동에 필요한 질소가스를 원활하게 이동하기 위해 혼합가스(수소 27%, 공기 73%) 용기의 위치를 변경하려고 시도하던 중 가스가 누출되면서 원인 모를 점화원에 가스용기가 폭발하였다. 이 사고로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중상을 입었다.
- 사고원인
-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고 보관 중이던 가스용기의 밸브 부분이 파손된 것을 연구활동종사자자가 모르는 상황에서 용기의 상태 확인을 소홀히 하였다. 또한 연구실 내 사물이 정리, 정돈되어 있지 않아서 이동 시 방해가 되어 사고의 위험을 더욱 높였다.
- 재발방지대책
- 가. 연구개발활동 전·후 가스 등을 포함한 연구장비의 점검을 철저히 하고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한다.
- 나. 연구개발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, 위험요소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시설 주변 정리를 해야 한다.
- 사고개요
-
- 담당부서
- 시설관리팀
- 연락처
- 02-2610-5160